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Programming)/비주얼 베이직 2019 (Visual Basic 2019)

비주얼 베이직 2019 (0) - 비주얼 베이직이란?

반응형

비주얼 베이직 2019 (0) - 비주얼 베이직이란?

 

비주얼 베이직은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윈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쉽고 간편하게 개발하기 위해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비주얼 베이직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DataBase Programming)이 가능하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개발할 수가 있습니다.

 

역사


비주얼 베이직이 개발되기 전 1963년에 다트머스 대학에서 John G Kemeny와 Thomas E Kurtz가 베이직(Basic)을 초보자 대상으로 개발을 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베이직 언어가 GUI 윈도용으로 개발된 것이 비주얼 베이직으로 1991비주얼 베이직 1.0이 발매되었습니다.

 

19923월 도스용 비주얼 베이직 1.0이 발표되었습니다.

 

1992 11비주얼 베이직 2.0이 발매되었습니다.

비주얼 베이직 2.0은 프로그래밍 환경이 더욱 쉽게 개선되었으며 속도 또한 향상되었습니다.

특히 폼이 인스턴스적인 개체가 되었으며 이러한 기본적인 클래스 모듈의 개념은 후에 비주얼 베이직 4.0에서 적요되었습니다.

 

19937비주얼 베이직 3.0이 발매되었습니다.

이 때는 스탠다드 에디션과 프로페셔널 에디션으로 구분되어 발매되었습니다.

비주얼 베이직 3.0은 제트나 액세스 1.x 데이터베이스를 읽을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제트 데이터베이스 엔진 1.1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19958비주얼 베이직 4.0이 발매되었습니다.

비주얼 베이직 4.032bit16bit 윈도 프로그램 둘 다 개발할 수 있는 첫 번째 버전의 비주얼 베이직이었습니다.

또한 GUI가 없는 클래스를 비주얼 베이직에서 개발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가 되었습니다.

비주얼 베이직 4.0 제품들 간의 비호환성은 설치와 운영상의 문제를 낳았습니다.

이전 버전의 비주얼 베이직VBX 컨트롤을 써 왔었지만 비주얼 베이직 4.0OLE 컨트롤(확장자가 .ocx인 파일)을 썼습니다.

OLE 컨트롤은  훗날 Active X 컨트롤이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1997년 2월 발매된 비주얼 베이직 5.032bit 버전으로 발매되었습니다.

16bit 프로그램들의 개발을 계속했던 프로그래머는 비주얼 베이직 4.0의 소스 코드를 비주얼 베이직 5.0으로 옮길 수 있었고 비주얼 베이직 5.0 프로그램이 비주얼 베이직 4.0으로 옮겨 가기도 쉬웠습니다.

비주얼 베이직 5.0은 또한 사용자 정의 컨트롤을 만들 수 있는 기능 또한 원시 코드로 윈도용 실행 파일을 컴파일 할 수 있는 기능 대량의 계산에서의 속도 향상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19986비주얼 베이직 6.0이 발매되었습니다.

비주얼 베이직 6.0은 웹 기반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후 2002년에 비주얼 베이직.Net

2010년에 비주얼 스튜디오 2010이 나왔고

2013년에 비주얼 스튜디오 2013이 나왔고

2015년에 비주얼 스튜디오 2015가 나왔고

2019년에 비주얼 스튜디오 2019가 나왔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기초용어


이벤트 기반 프로그래밍

절차형(순차적) 프로그래밍 방식입니다.

 

 

도스 운영체제(DOS Operating System)에서 사용을 했었습니다.

DOS OS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정해진 순서대로 처리하는 방식이 바로 절차형 프로그래밍 언어 방식입니다.

 

 

절차형 프로그래밍은 명령어를 기술한 순서대로 처리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를 중시합니다.

 

 

DOS OS와 달리 Windows OS는 이벤트 기반 방식을 따릅니다.

 

 

이벤트는 프로그램에서 감지한 어떤 행동이나 발생한 사건, 사용자가 발생시킨 이벤트에 따라 미리 정해진 명령을 처리를 가리킵니다.

 

 

이런 이벤트에 반응하도록 설계된 것이 이벤트 기반 프로그램입니다.

 

 

개체와 컨트롤

개체란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비롯해 생각할 수 있는 것들이 개체라 보면 됩니다.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책, 모니터, 충전기, 자동차, 비행기, 사람, 동물 등등과 같이 우리의 눈에 보이는 실제적인 것과 학과, 강의, 주문 등등과 같이 개념으로 존재하는 것들이 모두 개체입니다.

개체는 기능, 특성, 행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비주얼 베이직에서 도구 상자에 포함된 레이블, 리스트 박스, 버튼, 텍스트 박스, 체크 박스 등의 각 컨트롤이 개체에 해당합니다.

개체는 특성에 해당하는 속성, 기능인 메서드, 행위인 이벤트를 갖습니다.

동일한 컨트롤로 만든 개체는 기본적인 값은 같지만 각 개체의 특성에 맞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속성

속성은 개체의 크기, 색상, 위치와 같은 외형을 정의하는 특성입니다.

비주얼 베이직에서는 개체의 속성 값을 변경하여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개체마다 속성이 다릅니다.)

레이블은 제목용으로 사용되어 글자를 표시하는 속성이 대부분이므로 그림 속성이 없습니다.

픽처 박스는 그림을 넣는 컨트롤이므로 그림에 관한 속성이 다양하지만 글자에 대한 속성이 없습니다.

속성 값은 프로그램 코드나 디자인 모드의 속성 창에서 지정할 수가 있습니다.

 

 

메서드

메서드는 개체가 수행하는 동작이나 기능을 정의합니다.

각 컨트롤의 기능에 따라 정의된 메서드가 다릅니다.

비주얼 베이직 프로그래밍은 각 컨트롤이 가진 속성과 메서드를 이용하여 어떤 기능을 하게 만드는 작업입니다.

 

 

이벤트

이벤트는 개체가 사용자나 시스템으로부터 받는 명령으로 즉 개체가 반응할 수 있는 특정 사건입니다.

사용자가 마우스를 움직이는 행위나 키보드로 문자를 입력을 하는 행위나 버튼을 클릭하는 행위가 이벤트에 해당합니다.

 

 

프로시저

프로시저는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위로 어떤 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 순서입니다.

특히 이벤트 프로시저는 사용자가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이를 처리하기 위해 자동으로 호출됩니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는 프로시저가 자동으로 호출되는데 이를 이벤트 프로시저라고 합니다.

 

비주얼 베이직은 컴파일러 언어입니다.

비주얼 베이직은 고급 언어입니다.

그리고 굉장히 쉬운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반응형